Warning: Undefined array key 0 in /var/www/tgoop/function.php on line 65

Warning: Trying to access array offset on value of type null in /var/www/tgoop/function.php on line 65
- Telegram Web
Telegram Web
# 관세 업데이트: "미국 따라하는 EU" - 10월 2일

■ 로이터통신, EU가 미국처럼 수입 철강 관세를 50%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 보도

* 무관세가 적용되는 철강 수입쿼터 물량을 현행보다 절반 가까이 줄이는 방안도 포함할 것으로 전해짐

■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EU 집행위원회가 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부문별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촉구

■ 줘룽타이 대만 총리, 대미 관세 협상이 마지막 핵심 단계에 이르렀다라고 밝힘

* 중국시보, 미국 측은 대만 TSMC를 지원하는 대만 반도체 공급망의 미국 이전 등 대만의 투자 규모에 기대하고 있다라고 보도

* 대만 협상팀이 국가 이익 보호와 산업 이익 수호, 국민 건강 수호 및 식량 안보 확보라는 임무를 견지해 가장 유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언급

■ 로이터통신, 인도가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으로 구성된 유럽자유무역연합체(EFTA)와 약 16년간 협상 끝에 지난해 3월 체결한 무역 및 경제동반자 협정이 1일 자로 발효된다 보도

* 협정에 따라 EFTA는 인도 수출품 99.6%에 대한 관세를 92.2% 내리고, 인도는 EFTA 수출품의 95.3%에 대한 관세를 82.7% 인하

(자료 원본 ☞ https://buly.kr/Gkt3HS2)
👍4😁1
[DAOL 퀀트 김경훈] 3분기 전종목 실적발표 스케줄

3Q25 Earnings Calendar - 10/2 업데이트

■ 실적발표 예정
- (10/13) LG에너지솔루션 5,129억원 (흑전 / +4%q)
- (10/13) LG전자 6,078억원 (-19%y / -5%q)
- (10/14) 삼성전자 9.8조원 (+7%y / +111%q)

* P.S. 노랑색 음영부분은 회사가 공시한 실적발표 확정일이며, 기타 종목들은 예정일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정일은 공시일자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원본 ☞ https://buly.kr/8pgxBQC)
👍9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 역대급 괴리💡 - feat. "여기저기서 새역사 쓰기 바쁜 요즘" 상단 차트는 S&P500과 미국 구인건수간의 추이입니다. 시계열이 짧아 패턴을 찾기 어렵지만, 데이터가 존재하는 2000년 이후 증시와 경제 기초체력간의 역대급 괴리임에는 틀림없어 보입니다. 보통 이러한 큰 괴리 이후에는 가파른 "커플링"이 후행했었죠...🥺
# 그로부터 1년 - "여전히 새역사 쓰고있는 건 마찬가지"

상단 차트는 딱 1년 전 이맘때쯤 올려드렸던 S&P500과 미국의 Job Opening의 추이입니다. 당시 이 둘의 역대급 괴리를 짚어드리며, 가보지 않은 길로 가고 있는 여러 현상들 중 하나로 말씀드렸습니다.

1년이 지난 현재 어떤가요?

이 둘의 괴리가 본격 확대된 시점은 2022년 11월 챗지피티가 시장에 처음 공개됐을 때 였으며, 지금까지도 그 괴리는 지속 확대 중입니다.

이러한 모습은 AI가 기존 인간의 노동력을 실제로 대체하고 있다는 걸 의미할까요? 아니면, 어떤 새로운 형태의 버블로 그 골이 깊어지고 있는 걸 의미할까요??
18
# 관세 업데이트: "계속 미뤄지는 관세 부과" - 10월 10일

■ 폴리티코, 트럼프 행정부는 1일(현지시간)부터 시행하겠다고 했던 수입 의약품 100% 관세 부과를 미루기로 했다고 보도

■ 트럼프 대통령, 다음달 1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중·대형 트럭에 25% 관세가 발효된다 밝힘

* 대형 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던 것에서 중형 트럭까지 대상을 확대

* 당초 밝혔던 것과 달리 트럭에 대한 관세 부과 발효 시점은 10월 1일보다 한 달 늦춰짐

■ 룰라 브라질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에 브라질은 미국이 무역 흑자를 유지하고 있는 G20의 3개국 중 하나라는 점을 강조하며 부과한 40% 관세를 철회해 달라고 요청

* 트럼프 대통령, 양국 간의 경제와 무역에 관해 더 많은 논의를 할 것이며, 멀지 않아 브라질과 미국에서 함께 할 것이라 언급

■ EU, 미국에 이어 역내 산업 보호를 명분 삼아 철강 수입 장벽을 대폭 높이겠다고 예고하며 규정안을 공식 발표

* 모든 수입산 철강 제품에 대한 연간 무관세 할당량(이하 수입쿼터)을 최대 1천830만톤으로 제한하며 지난해 수입쿼터(3천53만톤) 대비로는 약 47% 감소

* 수입쿼터 초과 물량에 부과되는 관세율도 기존 25%에서 50%로 인상

* EU는 한국산 철강의 최대 수출시장이므로 이번 조치 시행 시 한국산 철강도 직격탄을 맞을 전망

■ 월스트리트저널,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 관세에서 복제(제네릭) 의약품은 제외할 계획이라 보도

* 복제약은 미국인이 매일 사용하는 의약품의 약 90%를 차지하지만 대체로 수입에 의존

P.S. 연휴 기간 이어진 여러 발언들을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발표 시점에 따라 시간 순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자료 원본 ☞ https://buly.kr/9MRGyqw)
👍10😁1
[DAOL퀀트 김경훈] 10월 국내증시 리스크 시그널

"관세압력이 커질수록 더 강해지는 (기이한) 경기사이클!?"

■ 올해 5월부터 시작된 국내 경기사이클의 반등이 이번 10월까지도 이어지는 중. 상호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한 8월 데이터 임에도 불구, RISK-ON 강도는 22개월 중 가장 강한 확장 폭!

■ 이를 정성적으로는 여전히 "왜곡현상"으로 해석. 최근 경기확장의 배경으로 경기종합지수간 괴리 확대, 특히 "선행지수"의 지속되는 우상향에 주로 기인하기 때문. 계량적으로 펀더먼털이 뒷받침되는 "체감되는" 경기확장이란, 과거 2021년도와 같은 경기 선행 및 후행 지표 모두가 동반 상승할 때를 의미

"국내 경기는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 수축기조""트럼프발 착시 현상 제거시 향후 수요절벽"이라는 기존 시각을 유지하는 바, 현 KOSPI 레벨이 시사하는 점은 상하방간 힘겨루기 속 펀더먼털보단 "도덕적 해이"에 빗댄 센티먼트의 영역이라는 판단. 따라서 향후 실제 미국 실물경기(e.g. "후행하는 하드 데이터")의 불협화음이 수면 위로 본격 떠오르기 전까지는 이러한 자산가격의 디커필링은 지속 될 개연성

(리포트 원본 ☞ https://buly.kr/5JNrDI6)

P.S. 국가데에터처 화재 복구에 시간이 걸려 이번 10월 업데이트가 다소 늦어진 점 양해의 말씀 올립니다. 🫡
11👍3😁2
[DAOL 퀀트 김경훈] 3분기 전종목 실적발표 스케줄

3Q25 Earnings Calendar - 10/13 업데이트

■ 실적발표 예정
- (10/13) LG에너지솔루션 5,145억원 (흑전 / +4%q)
- (10/13) LG전자 6,005억원 (-20%y / -6%q)
- (10/14) 삼성전자 10.1조원 (+10%y / +117%q)

* P.S. 노랑색 음영부분은 회사가 공시한 실적발표 확정일이며, 기타 종목들은 예정일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정일은 공시일자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원본 ☞ https://buly.kr/7mCTEKx)
👍101😁1
"주말에 TACO를 먹은 보람이 있구만~" 🤣
8😁3
# 관세 업데이트: "또 시작이네" - 10월 13일

■ 중국, 희토류의 수출에 대대적인 통제 조치를 시행한 데 이어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에 대해 자동차 반도체 설계회사 오토톡스 인수를 두고 반독점 조사를 시행하기로 결정

* 또한, 중국은 이날 미국 선박을 대상으로 입항료를 별도로 부과하겠다 밝힘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맞서 내달 1일부터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 밝힘

* 미국은 또한 모든 핵심 소프트웨어에 대한 (대중국) 수출 통제도 시행할 것이라 밝힘

* 트럼프 대통령, 2주 뒤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을 만날 예정이었지만 이제는 그럴 이유가 없어 보인다 언급

* 트럼프 대통령, 중국에서 매우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며 중국이 세계를 인질로 잡는 일을 허용해서는 안된다 강조

■ 중국 상무부 대변인, 100% 추가 관세 부과 발표 후 미국의 발언은 전형적인 이중잣대라며 만약 미국이 잘못된 길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자국의 합법적 권익을 수호하기 위해 반드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 강하게 경고

■ 트럼프 대통령, 미중 무역 갈등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미국은 중국을 해치려는 것이 아니라 도우려는 것이라 언급

* 트럼프 대통령, 시진핑 주석은 중국이 불황을 겪는 것을 원하지 않고 미국 또한 마찬가지라고 언급

* JD 밴스 부통령, 많은 부분은 중국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려 있다며 중국의 정책 수정을 촉구

* 그리어 USTR 대표,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를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도 대화를 통해 갈등 해결 가능성 제시

(자료 원본 ☞ https://buly.kr/4Qo4bLJ)
👍6😁1
📢 금일 장전 LG엔솔을 시작으로 3분기 실적시즌이 시작됐습니다.

트럼프 2기가 시작된 올해들어 정치적인 요인의 시장 개입으로 롱숏 절대수익형 성과가 아쉽지만, 실적 체크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8😁2💯1
# 관세 업데이트: "TACO가 되기로 마음먹은 트럼프" - 10월 14일

■ 트럼프 대통령, 중국과 관계는 괜찮을 것이고 시진핑 주석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언급

* 희토류 수출 통제 발표 직후엔 전화 통화도 미루던 중국이 주말 사이 미국과 실무급 대화를 시작

* 그리어 USTR 대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를 사전에 통보 받지 못하였고 공개된 정보를 알게 됐을 때 통화하려고 했지만, 중국 측이 미뤘다고 밝힘

* JD 밴스 부통령, 중국이 매우 공격적으로 나온다면 분명히 말하건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보다 훨씬 많은 카드를 가지고 있다 경고

■ 베선트 재무장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이달 말 한국에서 회담을 가질 예정이며, 수출 통제를 둘러싼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 밝힘

* 100% 관세는 반드시 시행될 필요가 없다며 완화적인 발언 지속

* 지난주 미국의 추가 관세 발표에도 불구하고 양국 관계는 좋다며 이제 소통 채널이 재개됐으니 향후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 언급

* 중국은 명령과 통제로 움직이는 경제이지만, 미국을 지휘하거나 통제할 수는 없다 지적하며 미국은 중국의 수출 허가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

■ 대한민국 대통령실, 한국 측이 지난달 금융 패키지 관련 수정안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해 일정 부분 미국 측의 반응이 있었다고 밝힘

(자료 원본 ☞ https://buly.kr/Gvnsbtc)
6👍4😁1
[DAOL퀀트 김경훈] Active Quant의 定石 - 10/14

"반도체 롱, 소비재 숏"

3Q25분기 4번째 업데이트 (10.14 ~ 10.28)

■ RESULTS:
* SURPRISE 예상
SK하이닉스, 해성디에스 4종목

* SHOCK 예상
하이브, 현대백화점 등 총 10종목

COMMENTS:
- 9월부터 반도체가 주도한 "실적장세 기대감"이 이어지며, 관련 종목들의 LONG 포지션 이어가는 모습

*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10.5조원으로 2주전 10.6조원 대비 소폭 감소

* SK하이닉스는 2주전 11.3조원 대비 최근 12조원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며 LONG 포지션 생성

- 반대로 엔터, 화장품, 백화점과 같은 소비재 업종을 중심으로는 다수의 SHORT 포지션 생성

* 이 중 하이브, 컴투스, 코스맥스, 현대백화점 등은 추정치 밴드하단을 밑돌며 가파른 실적 우하향 진행 중

- 최근 반도체에 대한 실적 기대감으로 시장 전반적인 이익 모멘텀까지 끌어올린 만큼, 단순 기대가 아닌 본격적인 "실적장세" 진입을 위해 이번 3분기가 중요한 분수령 될 것

(원본 링크 → https://buly.kr/HSY9XfD)
8😁1💯1
# [속보] 아쉬울 것 없는 중국, 삐딱선 타기 🇨🇳

︎ ​CHINA: RARE EARTH EXPORT CONTROLS ARE LAWFUL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는 정당한 조치)

︎ ​CHINA COMMERCE MINISTRY: URGES US SIDE TO CORRECT ITS 'WRONG PRACTICES' AS SOON AS POSSIBLE, SHOW SINCERITY IN TALKS WITH CHINA
(​중국 상무부: 미국 측은 '잘못된 관행'을 조속히 시정하고 중국과의 대화에 성의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

👉 이에 국장은 금일 상승의 일정부분 반납했으나, 미 선물시장 반응은 크게 부재... 서로의 약점을 알기에, 긴 싸움이 될 양국간 줄타기... 😭🥵
😭91👏1😁1
└ 너네나 잃지 마라 🤣🥲
😁20💯2🫡1
└└ 셧다운이나 해결해라

(내부적으로도 관리안되는게 어디서 밖으로 시비를 거나)
😁20💯4👌2😭21
# 관세 업데이트: "말 한마디에 요동치는 주가" - 10월 15일

■ 중국 상무부, 미국이 중국에 대해 취한 해사·물류·조선업 301조 조사 조치에 반격하기 위해 한화오션 5개 미국 자회사에 대한 반격 조치 채택에 관한 결정을 공표

* 중국 내 조직·개인이 이들 업체와 거래·협력 등 활동을 하는 것을 금지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이 미국산 대두를 사지 않는 건 경제적 적대 행위라며 식용유 등 일부 교역을 단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 밝힘

■ 트럼프 대통령, 시진핑 주석과 훌륭한 관계를 갖고 있지만 중국을 조심해야 한다며 경계

■ 그리어 USTR 대표, 이번 관세 및 보복 관련 사안들은 중국의 대응에 달려 있다며 상황을 크게 악화시킨 것은 중국 측이라 언급

* 중국이 지난주 발표한 희토류 수출 제한에 대해 중국이 세계 첨단기술 공급망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려는 체제를 유지하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

* 그리어 USTR 대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정상회담이 실제로 성사될지는 확언할 수 없지만, 가능하다면 대화는 언제나 의미가 있다고 언급

* 양국 고위급 실무진은 이번 주 초 워싱턴에서 희토류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지며 양측이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외교적 타결 가능성 언급

(자료 원본 ☞ https://buly.kr/CM0BSxL)
5👍2😁1
Media is too big
VIEW IN TELEGRAM
# 비로소 파월의 QT종료 시사

QT는 "긴축", 금리는 "확장"이라는 엇갈린 통화정책 속 그간 말씀드려 왔던 "시장금리 민감도 확대"를 걱정하기 시작한 파월 😯

이러한 엇갈린 행보의 배경 자체가 "스테그플레이션"으로 인한 두마리 토끼를 잡기 위함이었다면, QT종료 후 확정정책 집중시 가파른 물가상승은 불 보듯 뻔한 일이 될 개연성 ⚠️

(관련 코멘트 👉 https://www.tgoop.com/purequant/12580)
12😁2
# 항상 문제의 시작은 서브프라임

아래 요약은 지난주 추석 연휴 때 미국에서 불거진 크레딧 리스크 관련 내용입니다.

︎ Tricolor Holdings
• 서브프라임 자동차 대출 / 중고차 판매업체
• 2025.9.10 Chapter 7(청산형 파산)
• 대출 $14억 규모 담보 중복 제공(사기) 의혹
• JPMorgan, Barclays, Fifth Third Bank이 주요 채권자
• JPMorgan는 Tricolor 관련 $1.7억 손실 인식
• Fifth Third Bank는 Tricolor 대출 $2억 사기 의혹

︎ First Brands Group
• 자동차 부품 / 공급망 금융(Supply-Chain Finance) 기반 업체
• 2025.10 Chapter 11(재조정형 파산)
• 부채 약 $100억, 매출채권 중복담보(double-pledging) 의혹
• UBS의 O’Connor 펀드는 First Brands 관련 약 $5억 노출
• Jefferies의 Leucadia AM 펀드는 $7.15억 미수금 노출
• BoA와 Morgan Stanley는 노출은 있으나 담보 기반

︎ 핵심 포인트
• 고금리 + 소득정체 + 중고차가치 하락 = 서브프라임 연체율 급등
• 비은행들의 내부통제 실패
• UBS 등 금융사들은 직접 대출이 아닌 간접 투자(ABS, 팩토링, 펀드)를 통해 손실 노출
• 신용 사이클 수축기로 유사 구조 업체 추가 부실 가능성 존재


이에 이번주 회사 복귀하자마자 UBS의 CDS를 살펴봤으나 아직 피해 규모가 크지 않아서인지 변화는 부재했으며, 미국 내에서 Sumrpime Auto Loan 관련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파악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크레딧 카드 연체율도 가장 큰 문제지만, 통계에는 잡히지 않는 자동차 Subprime 대출 쪽에서 연체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 전조증상입니다.

미국 소비 중 상당부분이 자동차 판매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자동차 전체 대출 중 1/3이 Subprime 이기 때문이죠. 연체율 증가는 중고차 가격 하락 및 신차 판매 부진으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전조증상도 모두 다 묻고가는 주식시장 광기의 끝은 과연 어디일까요? 분명 08 리만 때도 전조증상은 존재했습니다.

이는 제가 2022년 7월 14일, 이번 부채 사이클의 궁극적인 종지부를 운운했을 때부터 그 트리거로 CLO(ABS)를 말씀드렸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눈에 안보이는 좀비 기업들의 퇴출 사이클.
14😁2
2025/10/17 21:26:44
Back to Top
HTML Embed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