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CL, 중소기업 지위 향상 공로로 중소기업중앙회 표창 수상]
블록체인 컨설팅 전문기업 INF씨엘은(INFCL)은 중소기업중앙회로부터 창의적 경영 전략과 중소기업 지위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장을 수여받았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INFCL이 블록체인사업협동조합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스타트업부터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지원해 왔고 글로벌 기업 대상 지식재산권(IP) 수출을 통해 국내 블록체인 기업의 위상을 제고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INFCL은 최근 AI 개발 수요 급증으로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글로벌 데이터센터와 국내 중소기업 및 AI 연구실을 대사응로 GPU 클라우드 그랜트(무상 사용 지원)를 제공해 연구·개발 환경을 개선했습니다.
또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회계사 등 전문 인력을 통해 상장사 및 전문투자사의 가상자산 법인계좌 개설을 지원하며 기업들의 가상자산 온보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사보기
블록체인 컨설팅 전문기업 INF씨엘은(INFCL)은 중소기업중앙회로부터 창의적 경영 전략과 중소기업 지위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장을 수여받았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INFCL이 블록체인사업협동조합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스타트업부터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지원해 왔고 글로벌 기업 대상 지식재산권(IP) 수출을 통해 국내 블록체인 기업의 위상을 제고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INFCL은 최근 AI 개발 수요 급증으로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글로벌 데이터센터와 국내 중소기업 및 AI 연구실을 대사응로 GPU 클라우드 그랜트(무상 사용 지원)를 제공해 연구·개발 환경을 개선했습니다.
또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회계사 등 전문 인력을 통해 상장사 및 전문투자사의 가상자산 법인계좌 개설을 지원하며 기업들의 가상자산 온보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사보기
👍8❤6🔥4
📕 에이셔(Aethir): 분산형 GPU 클라우드 인프라를 AI, Gaming, RWA 시장으로 확장 (Written by Orakle)
✔️ 목차
✔️ 주요 내용
전문보기
I. 에이셔 개요: 분산형 GPU 클라우드
1.1 에이셔 네트워크와 GPU-as-a-Service 모델
1.2 GPU 공급자-사용자 간 토큰 경제 구조
II. 주요 기술 아키텍처와 핵심 프로덕트
III. 산업 내 에이셔의 역할
3.1 케이스 스터디 1 – AI
3.2 케이스 스터디 2 – 로보틱스
3.3 케이스 스터디 3 – RWA (Real World Assets)
3.4 케이스 스터디 4 – 게이밍
IV. 비즈니스 확장
V. 결론: 에이셔가 제시하는 분산 클라우드의 미래
- 글로벌 AI 시장이 빠르게 성장했지만, GPU 연산 인프라의 높은 비용으로 ‘AI 개발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AI wealth gap)’이 심화 중
- 빅테크 기업들은 전용 데이터센터와 자본을 바탕으로 AI 혁신을 주도하는 반면, 스타트업, 개인 개발자, 학계 연구자 등은 필요한 컴퓨팅 파워를 확보하지 못해 혁신 실행 단계에서 좌절
- 이에 에이셔(Aethir)는 전 세계에 흩어진 유휴 GPU 리소스를 모아 하나의 거대한 연산 풀을 형성하고, 이를 온디맨드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로 제공
- 전통적인 중앙화 클라우드와 달리, 자체 데이터센터 유지 비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GPU 컴퓨팅 단가를 최대 80%까지 낮출 수 있음
전문보기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5❤3👀2🔥1💯1
[INFCL, ‘2025년 초기창업패키지’ 선정]
블록체인 컨설팅 전문기업 INF씨엘은(INFCL)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진행한 '2025년 초기창업패키지'에 선정되었습니다.
초기창업패키지는 창업 3년 이내의 유망기업을 발굴해 사업모델 고도화, 해외 진출, 인재 채용, 투자 유치 등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창업지원 프로그램입니다. INFCL은 이번 선정을 통해 웹3 및 디지털 자산 분야의 전문성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컨설팅은 높은 비용 문제로 대기업 중심으로 이뤄지는 보수적인 시장입니다. INFCL은 웹3와 디지털 플랫폼에 특화된 전략으로 시장을 세분화하고, 국내는 물론 해외 기업까지 고객층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지식 산업을 더 다양한 기업에게 제공하고, 한국 브랜드를 해외로 수출하는 것에 더욱 힘쓰겠습니다.
또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회계사, AI 전문 인력 영입을 통해 기업들의 가상자산 온보딩을 지원하고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이바지하겠습니다.
기사(매일경제)
기사(코인니스)
기사(핀포인트뉴스)
기사(토큰포스트)
블록체인 컨설팅 전문기업 INF씨엘은(INFCL)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창업진흥원이 진행한 '2025년 초기창업패키지'에 선정되었습니다.
초기창업패키지는 창업 3년 이내의 유망기업을 발굴해 사업모델 고도화, 해외 진출, 인재 채용, 투자 유치 등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창업지원 프로그램입니다. INFCL은 이번 선정을 통해 웹3 및 디지털 자산 분야의 전문성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컨설팅은 높은 비용 문제로 대기업 중심으로 이뤄지는 보수적인 시장입니다. INFCL은 웹3와 디지털 플랫폼에 특화된 전략으로 시장을 세분화하고, 국내는 물론 해외 기업까지 고객층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지식 산업을 더 다양한 기업에게 제공하고, 한국 브랜드를 해외로 수출하는 것에 더욱 힘쓰겠습니다.
또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회계사, AI 전문 인력 영입을 통해 기업들의 가상자산 온보딩을 지원하고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이바지하겠습니다.
기사(매일경제)
기사(코인니스)
기사(핀포인트뉴스)
기사(토큰포스트)
❤10👍5🔥3😁1🙏1
Forwarded from 토큰포스트 공식 채널
[토큰포스트 칼럼] 스테이블코인, '저렴함'보다 '구조적 우위'에 주목할 필요
스테이블코인은 지금 당장은 전통 결제 시스템보다 저렴하지 않을 수 있으나, 프로그래머블 머니로서의 구조적 우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단순한 비용 비교보다 확장성, 자동화, 상호운용성을 기반으로 한 장기적 경쟁력이 핵심이다.
🔗 토큰포스트 기사 원문
🔹 리서치 🔹 X
🔹 라운지 🔹 커뮤니티
🔹 캘린더 🔹 텔레그램
스테이블코인은 지금 당장은 전통 결제 시스템보다 저렴하지 않을 수 있으나, 프로그래머블 머니로서의 구조적 우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단순한 비용 비교보다 확장성, 자동화, 상호운용성을 기반으로 한 장기적 경쟁력이 핵심이다.
🔗 토큰포스트 기사 원문
🔹 리서치 🔹 X
🔹 라운지 🔹 커뮤니티
🔹 캘린더 🔹 텔레그램
TokenPost
[토큰포스트 칼럼] 스테이블코인, '저렴함'보다 '구조적 우위'에 주목할 필요 - TokenPost
올해 들어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의 큰 화두는 단연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국내 또한 원화 스테이블 코인 관련 기사가 끊임 없이 나오며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다날 등 많은 회사들이 너도나도 상표권을 출원했고 주가도 긍정적으로...
❤1
[매일경제 칼럼 1편] 스테이블코인, 금융 패러다임의 전환 - 이혜성 COO
기사보기
✔️ 주요 내용
기사보기
- 돈은 화폐에서 지폐, 신용카드를 거쳐 모바일 페이로 진화함. 스테이블코인은 이중지불 문제 해결로 인터넷에서 가치도 직접 전송 가능
- 스테이블 코인의 기본 개념은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자산임
- 기존 결제/송금 프로세스대비 효율성, 투명성, 보안, 프라이버시, 프로그래밍 가능성과 같은 특장점 보유
- 프로그래밍 가능성으로 기술 혁신을 넘어 금융 인프라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11👍3🤩3🔥1
[매일경제 칼럼 2편] 스테이블코인은 어떻게 미국 패권과 연결될까?
- 이혜성 COO
기사보기
✔️ 주요 내용
- 미국은 점차 약화되고 있는 달러 패권을 강화해야하고 MAGA 슬로건아래 AI 등 첨단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재정 지출이 필요한 딜레마에 놓임
- 지니어스 법안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미국채 등 안정적인 자산을 필수적으로 보유해야함
- 역사적으로 디지털 자산의 시가총액이 100원 늘어날 때마다, 평균 8.6원의 스테이블 코인이 발행됨
- 테더는 2024년 미국 국채를 331억 달러 순매입했으며, 이는 전세계 국가 중 7위 규모
- 미국은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자산을 활성화 하여 선순환 사이클을 만드는 것으로 추정됨
- 우호적인 디지털자산 정책 > 스테이블코인 수요 증가 > 미국 국채 수요 증가 > 국채 발행으로 AI 등 기술산업투자 > 미국의 기술패권과 달러 패권 강화
- 이혜성 COO
기사보기
- 미국은 점차 약화되고 있는 달러 패권을 강화해야하고 MAGA 슬로건아래 AI 등 첨단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재정 지출이 필요한 딜레마에 놓임
- 지니어스 법안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미국채 등 안정적인 자산을 필수적으로 보유해야함
- 역사적으로 디지털 자산의 시가총액이 100원 늘어날 때마다, 평균 8.6원의 스테이블 코인이 발행됨
- 테더는 2024년 미국 국채를 331억 달러 순매입했으며, 이는 전세계 국가 중 7위 규모
- 미국은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자산을 활성화 하여 선순환 사이클을 만드는 것으로 추정됨
- 우호적인 디지털자산 정책 > 스테이블코인 수요 증가 > 미국 국채 수요 증가 > 국채 발행으로 AI 등 기술산업투자 > 미국의 기술패권과 달러 패권 강화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1🔥1
[매일경제 칼럼 3편] 스테이블코인은 어떻게 미국 패권과 연결될까?
- 이혜성 COO
기사보기
✔️ 주요 내용
-중략-
- 중략-
-중략-
- 이혜성 COO
기사보기
AI 에이전트 혁명, 경제 활동의 주체가 바뀐다
"증기 기관은 인간의 도구였지만 AI는 역사상 처음으로 도구가 아닌 ‘에이전트’가 될 수 있는 기술이다.”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의 이 통찰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올해, 글로벌 선도 기업들은 놀랍도록 유사한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OpenAI는 ChatGPT 에이전트를 출시했고, Anthropic은 에이전트 간 소통을 위한 MCP(Model Context Protocol)를 공개했습니다. Google은 A2A(Agent-to-Agent) 프로토콜을 발표했으며, Microsoft는 'Open Agentic Web' 비전을 선언했습니다. 산업 전체가 AI 에이전트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중략-
AI 에이전트 간 협업과 거래. 에이전트 이코노미의 탄생
이런 AI들이 이제는 서로 협력하며, 더 복잡한 업무를 함께 수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 AI가 데이터를 분석하면, 다른 AI는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또 다른 AI는 프레젠테이션을 만드는 식으로 마치 하나의 팀처럼 연결되어 작업합니다. 이것이 바로 '에이전트 이코노미(Agent Economy)'입니다. 수천, 수만 개의 AI 에이전트들은 각자 목표 달성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경쟁하며 거래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완전히 새로운 경제 모델입니다.
- 중략-
에이전트들이 거래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사람이 일상에서 다른 사람과 거래를 하려면 아래 두가지가 필요합니다.
1.언어(소통 방법): 서로 대화할 수 있어야 하고
2. 결제 수단: 실제 거래를 완료할 결제 수단이 있어야 합니다
AI 에이전트 경제에서도 정확히 같은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소통 방법: 에이전트들의 공통 언어
현재 AI 선도 기업들은 에이전트 간 소통을 위해 다음과 같은 표준을 만들고 있습니다
MCP(Model Context Protocol): 앤트로픽이 주도하는 이 프로토콜은 AI 에이전트가 외부 데이터와 도구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마치 C형 USB로 알려진 ‘USB-C’ 처럼 AI 에이전트가 다양한 데이터 소스(구글드라이브, 슬랙 등)에 표준화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A2A(Agent2Agent): 구글이 주도하고 50여 개 기업이 참여하는 이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프레임워크의 AI 에이전트들이 정보를 교환하고 작업을 조율할 수 있게 해주는 언어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만 하는 사람과 영어만 하는 사람이 번역기를 통해 대화하는 것처럼, A2A는 서로 다른 회사에서 만든 AI 에이전트들(CrewAI, AutoGen, LangGraph 등)이 서로 소통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각 에이전트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A2A를 통해 다른 에이전트들에게 알리고 필요할 때 협력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결제 수단
또 다른 핵심 문제는 결제입니다. AI 에이전트에게 신용카드를 발급할 수 있을까요? 은행 계좌를 개설해줄 수 있을까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기존 금융 시스템은 철저히 인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문제는 인터넷이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예견된 것이었습니다. 1992년, HTTP 프로토콜 개발자들은 디지털 현금 및 마이크로 결제를 위해 ‘402 Payment Required’라는 상태 코드를 만들어뒀습니다. 하지만 이 코드는 30년 넘게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온라인 결제 인프라가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신용카드 시스템은 오프라인 거래를 위해 만들어졌고, 온라인에서는 복잡한 중개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결국 웹은 결제 대신 광고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선택했습니다. 인터넷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대신 광고를 봐야 하는 것이 웹 기반 사업모델의 기본이 되었습니다
결국 웹은 결제 대신 광고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선택했습니다. 인터넷 서비스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대신 광고를 봐야 하는 것이 웹 기반 사업모델의 기본이 되었습니다.
AI 시대에는 광고 모델이 작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AI 에이전트는 광고를 클릭하지 않습니다. 에이전트가 웹을 탐색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완전히 새로운 수익 모델이 필요합니다. 지금과 같이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해서 트래픽을 모으고, 광고를 클릭하게 하여 수익을 버는 사업 구조는 에이전트 경제에서 작동하지 않습니다.
-중략-
스테이블코인: 에이전트의 완벽한 화폐
Mastercard의 ‘tokenized credential’ Visa의 ‘Intelligent Commerce’ Coinbase의 x402 프로토콜이 구현하려는 기능들은 동일합니다:
- 프로그래머블: 에이전트가 코드로 직접 제어 가능. ‘A 조건이 충족되면 B에게 C만큼 자동 지불’과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가능
- 무허가: 계정 개설이나 승인 절차 없이 즉시 사용 가능. 에이전트가 생성되는 순간부터 거래 가능
- 글로벌 접근성: 24시간 언제 어디서든 국경 제약 없이 사용. 한국의 에이전트가 미국 서비스에 실시간으로 결제 가능
- 즉시 정산(속도): 몇 초 내 전 세계 어디든 송금 완료. 기존 국제 송금의 수일과 큰 차이
- 투명함: 모든 거래가 블록체인에 실시간 기록되어 감사 추적 가능
- 비용 효율성: 중개 기관 없이 직접 거래로 수수료 최소화
조금 익숙하신가요? 전 아티클들에서 다뤘던 스테이블코인의 핵심 특성들입니다.
AI 에이전트 이코노미에서 필요한 AI 네이티브 결제 시스템은 결국 빠르고, 프로그래머블하고, 접근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결국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해답은 스테이블코인으로 수렴하고 있습니다.
마치 인터넷이 정보의 흐름을 바꾼 것처럼, AI와 스테이블코인의 결합으로 인터넷의 금융 패러다임이 어떻게 바뀔지 기대됩니다.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4👍2👀2🔥1
[INF크립토랩, 아크포인트로 사명 변경… AI·스테이블코인 중심 신사업 가속]
INF크립토랩(INFCL)은 ‘아크포인트(ARK Point)’로 사명을 변경하고 자문 회사를 넘어 AI·스테이블코인 등 신규 사업을 본격 추진합니다.
AI 부문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 초기창업패키지와 구글클라우드 지원을 통해 진행하던 ‘Analyst X’를 ‘ARK.ai’로 전환하고, 온체인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개발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박사급 인력을 충원하고 글로벌 AI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겠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부문에서는 금융사와 결제사를 대상으로 컨설팅 및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미국 달러 스테이블코인 노하우를 보유한 디지털 컨설팅 스타트업 ‘그로쓰패스(GrowthPass)’를 인수했으며 자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플랫폼과의 연동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 2년 반 동안 수이, 아발란체 등 100개 이상의 글로벌 프로젝트와 국내 기업 대상으로 쌓은 역량을 활용해 새로운 도전을 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리겠습니다.
매일경제 기사
코인니스 뉴스룸
서울경제 기사
한스경제 기사
SR타임스 기사
INF크립토랩(INFCL)은 ‘아크포인트(ARK Point)’로 사명을 변경하고 자문 회사를 넘어 AI·스테이블코인 등 신규 사업을 본격 추진합니다.
AI 부문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 초기창업패키지와 구글클라우드 지원을 통해 진행하던 ‘Analyst X’를 ‘ARK.ai’로 전환하고, 온체인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개발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박사급 인력을 충원하고 글로벌 AI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겠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부문에서는 금융사와 결제사를 대상으로 컨설팅 및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미국 달러 스테이블코인 노하우를 보유한 디지털 컨설팅 스타트업 ‘그로쓰패스(GrowthPass)’를 인수했으며 자체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플랫폼과의 연동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 2년 반 동안 수이, 아발란체 등 100개 이상의 글로벌 프로젝트와 국내 기업 대상으로 쌓은 역량을 활용해 새로운 도전을 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리겠습니다.
매일경제 기사
코인니스 뉴스룸
서울경제 기사
한스경제 기사
SR타임스 기사
❤9🔥5💯3👍1
[채용] ARK Point (구 INF CryptoLab)에서 열번째 멤버를 찾고 있습니다!
🔵 공고 전문 보기
채용 직무
ARK Point 소개
지원 방법
기타
채용 직무
🟠 Product Owner / Technical PM (8~10년차)🟠 Web3 Marketing PM (1~3년차)🟠 Brand designer(1~3년차)
ARK Point 소개
ARK Poin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현재의 인터넷을 더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키는 회사입니다. 저희가 하는 모든 일의 중심에는 ‘더 많은 사람이 블록체인 기술의 가치를 더 쉽게 체감하게 한다’는 목표가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기존의 신뢰 구조를 혁신하며, 금융을 시작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거래를 활성화하고, 기업가 정신을 촉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거래가 활발해지고 창업이 늘어날수록 세상은 더 나은 곳이 될 것입니다.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리드하에 블록체인이 투기와 실험의 영역에서 메인스트림 비즈니스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투자 열기에 비해 산업에 필요한 전문 인력이 크게 부족한 상황입니다. ARK Point는 바로 이 지점에서 차별화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상장사의 블록체인 신사업 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하고,해외 대형 프로젝트의 한국 진출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 최고 수준의 역량을 갖춘 팀입니다.
저희 팀은 증권사 애널리스트, 회계사, 컨설턴트, 마케터, 블록체인 스타트업 등 다양한 배경에서 온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외부 투자 없이 자체 비즈니스로 창업 첫 달부터 지속적인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누적 100여 개의 탑티어 고객사와 협업하며 저희의 인사이트와 솔루션을 제공했습니다.
그 결과, 80% 이상의 재계약율과 2년간 연평균 4배 성장이라는, 업계 최고 수준의 매출 및 수익 성장 속도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의 중심에서, 독보적인 실력을 갖춘 팀에 합류할 ‘열 번째 멤버’를 찾고 있습니다.
지원 방법
hslee@arkpoint.kr 로 이력서 및 포트폴리오 제출
기타
🟠 업무 시작일: 협의 가능🟠 위치: 강남구 영동대로 106길 5 (봉은사역, 삼성역)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ruddy-cheek-54c on Notion
채용공고 | Notion
Last update: 2025.08.07
❤4✍2🔥2
INFCL Research (ARK Point) pinned «[채용] ARK Point (구 INF CryptoLab)에서 열번째 멤버를 찾고 있습니다! 🔵 공고 전문 보기 채용 직무 🟠 Product Owner / Technical PM (8~10년차) 🟠 Web3 Marketing PM (1~3년차) 🟠 Brand designer(1~3년차) ARK Point 소개 ARK Poin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현재의 인터넷을 더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키는 회사입니다. 저희가 하는 모든 일의 중심에는 ‘더…»
WLFI 정치·셀럽·크립토가 만난 초대형 실험 (Source)
WLFI(World Liberty Financial)란?
WLFI의 투자 구조 & 성과
WLFI 논란 핵심 포인트
현재 WLFI 시장 현황 (2025.9.3 기준)
향후 변수와 관전 포인트
✍️ WLFI는 정치·셀럽 네트워크와 크립토가 결합한 대표 사례로, 초기 투자자에게는 막대한 수익을 안겼지만 거래소에서 매수한 투자자에게는 FOMO 리스크를 보여준 사건입니다.
향후 USD1 스테이블코인이 실제로 얼마나 많은 사용처를 확보하는지 여부와 WLFI와 USD1과의 실질적 관계가 프로젝트의 성패를 가를 핵심 요인으로 보입니다.
🌊Surf 리서치 원문 보기
WLFI(World Liberty Financial)란?
- 트럼프 일가가 공동 창립한 디파이 프로젝트
- USD1 스테이블코인 + WLFI 거버넌스 토큰 듀얼 토큰 구조
- “미국적 금융 자유”를 표방하며 정치·셀럽 네트워크를 결합한 크립토 프로젝트
- Binance, Coinbase, OKX, Upbit 등 주요 거래소 동시 상장
WLFI의 투자 구조 & 성과
- 프리세일 1 (2024.9) → +1,404%
- 프리세일 2 (2025.초) → +351%
- 트럼프 일가 → 평가차익 50억 달러+ (락업 중)
- DWF Labs 등 기관 투자자 전략적 물량 확보
반면, 현물 상장 이후 투자자로 대부분 손실
- $0.46 고점 FOMO 매수자 → -51% 하락
WLFI 논란 핵심 포인트
- 셀럽 마케팅 논란: 유명세 활용하여 정치 권력의 자산화 우려
- 토크노믹스 불투명성: 유통량 혼선, 할당 변경 의혹
- 초기 투자자 매도설: 온체인 데이터에서 대량 매도 포착
- 규제 리스크: 정치인 연루 프로젝트 조사 가능성
- 생태계 신뢰도 하락: 반복되는 펌프앤덤프 우려
현재 WLFI 시장 현황 (2025.9.3 기준)
- 가격: $0.2296 (상장 고점 대비 -30.6%)
- 시가총액: 56.6억 달러 (글로벌 27위)
- 24시간 거래량: 14.7억 달러
- 유통 물량: 246억 개 (총 공급량의 24.7%)
- 소각량: 4,700만 개 (공급량 일부 감소 효과)
향후 변수와 관전 포인트
- 단기 리스크:
반대 세력의 반발, 규제 조사 가능성, $0.20 지지선 붕괴 우려
- 장기 리스크:
대규모 언락으로 인한 공급 과잉, 정치 리스크, 디파이 경쟁 심화
- 긍정적 요인:
USD1 스테이블코인 실사용 확대, 거버넌스 락업 유지, DWF Labs 유동성 지원
✍️ WLFI는 정치·셀럽 네트워크와 크립토가 결합한 대표 사례로, 초기 투자자에게는 막대한 수익을 안겼지만 거래소에서 매수한 투자자에게는 FOMO 리스크를 보여준 사건입니다.
향후 USD1 스테이블코인이 실제로 얼마나 많은 사용처를 확보하는지 여부와 WLFI와 USD1과의 실질적 관계가 프로젝트의 성패를 가를 핵심 요인으로 보입니다.
🌊Surf 리서치 원문 보기
❤3👍3🔥2🥰1
0G TGE, 예상 FDV는 얼마일까? (Source)
0G Labs란?
0G Labs 토크노믹스
예상 FDV 시나리오
리스크 & 기회 포인트
✍️ 가장 가능성 높은 FDV 범위는 7억~20억 달러, FDV 10억 달러 전후에서 거래 개시 가능성이 높지만, 상장 초반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주의 필요
🌊 Surf 리서치 원문 보기
0G Labs란?
- AI 네이티브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 온체인 데이터 처리 및 AI 모델 학습용 탈중앙화 컴퓨팅 네트워크 제공
- 총 3억 5,900만 달러 투자 유치 → 강력한 VC 백업
- NTT Digital 밸리데이터 파트너십으로 기관 신뢰도 확보
0G Labs 토크노믹스
- 총 발행량: 10억 개
- TGE 유통량: 20.5% (약 2억 480만 개)
- 시드 라운드 FDV: 20억 달러 이상
- 총 투자금: $3.59억 달러
예상 FDV 시나리오
- 보수적: 약 7억 달러 → 토큰가 약 $0.70
- 기본(Base): 약 10억 달러 → 토큰가 약 $1.00
- 강세(Bullish): 약 20억 달러 → 토큰가 약 $2.00
- 투기적(High Narrative): 약 50억 달러 → 토큰가 약 $5.00
리스크 & 기회 포인트
단기 리스크
- TGE 시 20.5% 유통량 → 상장 직후 매도 압박 가능성↑
- FDV 10억 달러 초과 시, 첫날 20~40% 조정 가능성
장기 리스크
- 팀·투자자 물량 12개월 후 언락 → 공급 과잉 가능성
- AI 인프라 경쟁 심화에 따른 점유율 리스크
긍정적 요인
- 3.59억 달러 대규모 투자 → 시장 신뢰도 상승
- AI·데이터 중심 Web3 서사로 시장 관심↑
- NTT Digital 파트너십 → 기관급 밸리데이터 운영 가능성
✍️ 가장 가능성 높은 FDV 범위는 7억~20억 달러, FDV 10억 달러 전후에서 거래 개시 가능성이 높지만, 상장 초반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주의 필요
🌊 Surf 리서치 원문 보기
❤4🔥2🙏1
아크포인트(INFCL)가 언디파인드 랩스(Undefined Labs)와 지난 25일 공동 주최한 '코리아 RWA & 스테이블코인 서밋 2025(Korea RWA & Stablecoin Summit 2025)'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행사에는 약 500여 명의 일반 참가자와 100개 이상의 글로벌 프로젝트 및 금융기관 관계자가 참석해 성황을 이뤘습니다. 이번 서밋은 실물자산 토큰화(RWA)와 스테이블코인의 현황과 전망을 집중적으로 다뤘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규제 강화 속에서 두 자산군이 점차 중요 축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참가자들은 웹3 환경에서의 스테이블코인의 역할, 전통 금융과의 협력 가능성, 수익 전략 및 인프라 구축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주최 측은 "RWA와 스테이블코인은 한국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높다고 인식되고 있었으나, 이번 서밋을 통해 기관과 개인 투자자 간 격차를 좁히고 대중 확산 가능성을 모색하며 간극을 좁혔다. 향후에도 글로벌 시장과 한국 시장을 잇는 논의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경제 기사
코인니스 기사
행사에는 약 500여 명의 일반 참가자와 100개 이상의 글로벌 프로젝트 및 금융기관 관계자가 참석해 성황을 이뤘습니다. 이번 서밋은 실물자산 토큰화(RWA)와 스테이블코인의 현황과 전망을 집중적으로 다뤘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규제 강화 속에서 두 자산군이 점차 중요 축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참가자들은 웹3 환경에서의 스테이블코인의 역할, 전통 금융과의 협력 가능성, 수익 전략 및 인프라 구축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주최 측은 "RWA와 스테이블코인은 한국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높다고 인식되고 있었으나, 이번 서밋을 통해 기관과 개인 투자자 간 격차를 좁히고 대중 확산 가능성을 모색하며 간극을 좁혔다. 향후에도 글로벌 시장과 한국 시장을 잇는 논의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경제 기사
코인니스 기사
❤5👍2🔥2
🟢 오라클 후발주자에서 글로벌 가격 데이터 인프라로🟢 피스가 경쟁에서 이길 수 있었던 전략적 선택들🟢 기술 우위를 시장 지배력으로 바꾼 실행력🟢 시장 위기 속에서 보여준 피스의 신뢰성🟢 생태계가 스스로 커지는 선순환 구조🟢 미래 시장을 먼저 선점한 포지셔닝
✉️ 리서치 전문보기
🔗 INF CryptoLab : 텔레그램 | 웹사이트
Please open Telegram to view this post
VIEW IN TELEGRAM
❤6🔥5👍3🙏2
[아크포인트, 아이티센글로벌·비전벤처스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스테이블코인·AI 사업 본격화]
아크포인트는 아이티센글로벌과 비전벤처스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아크포인트는 아이티센글로벌과 시중은행의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사업에 합류하고, 비전벤처스 포트폴리오사들의 Web3 생태계 진출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투자금과 기존 사업 잉여금은 스테이블코인 브릿지와 AI 기반 분석 플랫폼 개발에 재투자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소프트뱅크벤처스·베인앤컴퍼니 출신 핀테크 전문가와 서울대·카이스트 출신 AI 엔지니어 등 핵심 인력을 영입했습니다.
아크포인트는 지난 8월 사명 변경 이후 블록체인 컨설팅 사업과 글로벌 프로젝트의 한국 시장 진입 지원을 계속하면서, 동시에 AI와 스테이블코인 등 신규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리며 협업 관련 연락은 hslee@arkpoint.kr 또는 @hsleev로 부탁드리겠습니다.
매일경제 기사
디센터 기사
플래텀 기사
아크포인트는 아이티센글로벌과 비전벤처스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아크포인트는 아이티센글로벌과 시중은행의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사업에 합류하고, 비전벤처스 포트폴리오사들의 Web3 생태계 진출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투자금과 기존 사업 잉여금은 스테이블코인 브릿지와 AI 기반 분석 플랫폼 개발에 재투자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소프트뱅크벤처스·베인앤컴퍼니 출신 핀테크 전문가와 서울대·카이스트 출신 AI 엔지니어 등 핵심 인력을 영입했습니다.
아크포인트는 지난 8월 사명 변경 이후 블록체인 컨설팅 사업과 글로벌 프로젝트의 한국 시장 진입 지원을 계속하면서, 동시에 AI와 스테이블코인 등 신규 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리며 협업 관련 연락은 hslee@arkpoint.kr 또는 @hsleev로 부탁드리겠습니다.
매일경제 기사
디센터 기사
플래텀 기사
❤7🔥4🙏4👍1
Talus Network: AI 와 Web3.0 융합을 통한 자율 Agent 기반 디지털 경제 인프라 구축
AI 에이전트의 한계를 깨는 온체인 네이티브 AI 인프라로, 웹3와 AI가 결합된 자율 에이전트 경제(Autonomous AI Economy)를 실현합니다.
문제 인식
기존 AI는 중앙화·폐쇄성(Web2) 한계로 자율성, 투명성, 경제활동이 불가능함.
Talus의 비전
AI 에이전트를 진정한 온체인 경제 주체로 만드는 인프라 구축.
기술 기반
- Nexus Framework: 온체인·오프체인 하이브리드 실행
- Walrus Storage: 분산형 데이터 저장
- 핵심 구성요소: TAP(에이전트 패키지) / Talus Tools(온·오프체인) / Walrus / Leader
생태계 구조
- Tool / Agent Marketplace
- AaaS (Agent-as-a-Service)
- 워크플로우 자동화 + 개발자 인센티브 구조
토크노믹스
- 토큰 유틸리티: Payment / Participation(스테이킹·노드·툴 등록) / Privilege
- Nexus 보조금 모델 + 충성도 보상 모델
- 네트워크 기여자에 대한 지속적 보상, 사용량 기반 수요 정렬
활용 분야
DeFi / DAO / DePIN / 게임 / 소셜 등 Web3 전반에 적용
성장 전략
AvA Market 중심으로 개발자·기업 참여 유도 → 네트워크 확장
Talus는 체인 네이티브 + 모듈형 AI 인프라의 대표 사례로, AI가 직접 거래하고 협력하는 지능형 탈중앙 경제 시대의 토대를 세웁니다.
Talus는 앞으로 Web3 + AI 융합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예정입니다.
✉️ 리서치 전문보기
🔗 INF CryptoLab : 텔레그램 | 웹사이트
Talus Network
AI 에이전트의 한계를 깨는 온체인 네이티브 AI 인프라로, 웹3와 AI가 결합된 자율 에이전트 경제(Autonomous AI Economy)를 실현합니다.
핵심 포인트
문제 인식
기존 AI는 중앙화·폐쇄성(Web2) 한계로 자율성, 투명성, 경제활동이 불가능함.
Talus의 비전
AI 에이전트를 진정한 온체인 경제 주체로 만드는 인프라 구축.
기술 기반
- Nexus Framework: 온체인·오프체인 하이브리드 실행
- Walrus Storage: 분산형 데이터 저장
- 핵심 구성요소: TAP(에이전트 패키지) / Talus Tools(온·오프체인) / Walrus / Leader
생태계 구조
- Tool / Agent Marketplace
- AaaS (Agent-as-a-Service)
- 워크플로우 자동화 + 개발자 인센티브 구조
토크노믹스
- 토큰 유틸리티: Payment / Participation(스테이킹·노드·툴 등록) / Privilege
- Nexus 보조금 모델 + 충성도 보상 모델
- 네트워크 기여자에 대한 지속적 보상, 사용량 기반 수요 정렬
활용 분야
DeFi / DAO / DePIN / 게임 / 소셜 등 Web3 전반에 적용
성장 전략
AvA Market 중심으로 개발자·기업 참여 유도 → 네트워크 확장
결론
Talus는 체인 네이티브 + 모듈형 AI 인프라의 대표 사례로, AI가 직접 거래하고 협력하는 지능형 탈중앙 경제 시대의 토대를 세웁니다.
Talus는 앞으로 Web3 + AI 융합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예정입니다.
✉️ 리서치 전문보기
🔗 INF CryptoLab : 텔레그램 | 웹사이트
❤2👍2👨💻1
Theo, RWA 성장의 핵심 수혜주로 부상 (Source)
Theo란?
시장 성과
기술적 차별화
경쟁력 포인트
리스크 요인
✍️RWA 시장 연간 94% 성장세 속에서 Theo는 제로 수수료 + 풀스택 구조 + 실시간 발행 기술로 빠르게 점유율 확대 중입니다. 토큰 집중도와 수익화 모델 불확실성은 리스크 요인이지만, 앞으로 TGE 및 DeFi 통합 확대 여부가 관전 포인트가 될 예정입니다.
Theo란?
- 기관급 실물자산(RWA)을 온체인으로 연결하는 풀스택 블록체인 플랫폼
- 2025년 7월 출시, 미국 국채 등 고품질 자산에 무허가 접근 제공
- TradFi와 DeFi를 잇는 인프라 구축
핵심 상품: thBill
- Theo Short Duration US Treasury Fund, 단기 미국 국채 토큰화 상품
- 시가총액: 약 1억 970만 달러, 보유자: 199명
- RWA TVL 기준 상위 3위 프로젝트
시장 성과
- 시드 라운드: 2025년 4월 Hack VC·Anthos Capital 주도, $2,000만 유치
- TVL 성장:
1월 2,995만 달러 → 10월 1억 1,722만 달러 (+300%)
9월 29일 기준 1억 3,352만 달러 정점 기록
- 월 거래량: 1억 3,621만 달러 (1,174건 전송)
- 보유자: 30일간 +53% 증가 (131 → 199명)
- 주요 통합: Morpho ($8,300만 예치), Hyperliquid, Uniswap V3
기술적 차별화
- Optimistic RWA Minting: 블록 단위 실시간 발행으로 거래 지연 최소화
- 리스크 엔진: 포트폴리오 마진·VaR 모델·투명한 청산 시스템 구현
→ TradFi 수준의 확장성과 보안성 확보
경쟁력 포인트
- VS. Ondo/Chromia: Hyperliquid 연동으로 레버리지 RWA 노출 제공
- VS. Mantra/Algorand: TradFi급 리스크 엔진 + 제로 수수료로 기관 친화적 구조
- 시장 위치:
RWA 총 TVL 171억 달러 (+94% YoY) 중 thBILL AUM 1억 970만 달러; Coingape RWA 순위 36위, 아비트럼 TVL 기준 Top 3
리스크 요인
- 토큰 집중도: thBILL의 99.58%가 브리지 컨트랙트에 집중 → 중앙화·스마트컨트랙트 리스크
- 규제 제약: KYC/비미국 기관 전용 구조 → 소매 투자자 접근 제한
- 수익 구조: 수수료 제로 정책으로 직접 수익 창출 한계
- 금리 민감성: 미국 국채 금리 변동 시 thBILL 수익률 경쟁력 약화 가능성
✍️RWA 시장 연간 94% 성장세 속에서 Theo는 제로 수수료 + 풀스택 구조 + 실시간 발행 기술로 빠르게 점유율 확대 중입니다. 토큰 집중도와 수익화 모델 불확실성은 리스크 요인이지만, 앞으로 TGE 및 DeFi 통합 확대 여부가 관전 포인트가 될 예정입니다.
❤4🔥4👍1
Polymarket, ICE 20억 달러 투자로 기관급 예측 시장으로 도약 (Source)
Polymarket이란?
ICE 투자 의미 & 시장 성장성
한국 투자자 관전 포인트
✍️ICE의 20억 달러 투자는 예측 시장을 ‘도박’에서 ‘정보 인프라’로 끌어올린 분수령입니다. 시장 규모는 10년 내 955억 달러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며, 한국 투자자는 ETF·기관 주식·생태계 토큰을 통한 간접 노출 전략이 현실적입니다.
Polymarket이란?
- 예측 시장 기반의 대표 크립토 플랫폼
- NYSE 모회사 ICE(Intercontinental Exchange)가 20억 달러 투자
- 단순 베팅 서비스를 넘어 기관급 데이터 인프라로 진화
- 이번 파트너십은 예측 시장의 제도권 진입 신호탄
ICE 투자 의미 & 시장 성장성
- ICE는 Polymarket의 실시간 확률 데이터를 전 세계 금융기관에 배포 예정
- 예측 시장 규모: 2025년 100억 달러 → 2035년 955억 달러 전망 (+46.8% CAGR)
- Polymarket 거래량: 연간 190억 달러 돌파
- Polygon 기반 인프라로 초당 1,000건 이상 처리, 기관 거래 최적화
한국 투자자 관전 포인트
- 현행법상 도박으로 분류, 직접 참여 불가
- 향후 미국 예측 시장 ETF 또는 ICE·Polygon 등 간접 투자 유효
- 핀테크 규제 완화(2025 Q3) 시 정보형 예측 도구로 재분류 가능성
✍️ICE의 20억 달러 투자는 예측 시장을 ‘도박’에서 ‘정보 인프라’로 끌어올린 분수령입니다. 시장 규모는 10년 내 955억 달러로 성장할 잠재력이 크며, 한국 투자자는 ETF·기관 주식·생태계 토큰을 통한 간접 노출 전략이 현실적입니다.
❤1👍1🔥1